단어로 찾아보는 성경구절부터 말씀읽기까지!
한자: 贖罪祭[1], 영어: sin offering(KJV, NASB, NIV)
죄를 속죄(贖罪)하고자 하나님께 드리는 제사이다.
개념
근원과 의미
근원
의미
예언 성취
구약 예언
초림 성취
신약 예언
속죄제와 관련된 대표적인 인물
대제사장이 일 년에 한 번 지성소에 들어가 자기와 백성들의 죄와 허물의 사하심을 위해 제물에 안수하고 제물의 피를 제단에 뿌리는 제사법 중 하나이다(레 16장, 히 9:7).
제물로 바친 짐승의 피로 죄를 속하고 사함을 받기 위한 제사로서 신분에 따라 드리는 제물이 다르게 정해져 있었다(레 4장).
범죄한 천사의 출현과 그의 미혹으로 하나님과 언약한 첫 사람 아담과 하와가 하나님의 법을 어기고 죄를 지음으로 후손인 가인과 아벨때로부터 제사가 시작되었다(창 3~4장).
사람의 죄악이 세상에 관영(貫盈)[1]함으로 모세 율법을 따라 속죄를 위해 제사가 필요했다(창 6:5~7).
모세 율법으로 드린 짐승의 피로된 제사는 모형과 그림자이다(히 10:1, 골 2:16~17).
짐승의 피로는 온전히 죄 사함 받을 수 없으며 의인인 예수님의 피로만이 온전히 죄 사함 받을 수 있다(히 10:1~18, 사 7:14).
죄 사함을 위한 희생 제물의 실체가 예수님이며 어린 양으로 비유되었다(시 40편, 사 53장).
속죄 제사를 위해 제물로 하나님이 예수님을 예비하셨다(겔 2~3장).
예수님의 피로 사람들을 속죄하여 구원코자 두 번째 나타나심 즉 재림을 약속하셨다(히 9:28).
예수님의 피로 죄 사함 받은 나라와 제사장과 백성이 등장한다(계 1:5~6, 계 5:9~10, 계 7:14).
예수님의 피인 새 언약의 말씀을 마음에 새겨 죄 사함을 받는 인 맞은 12지파 제사장 144,000은 구약 때처럼 죄 사함을 위하여 매일 제사 드릴 것이 없다(마 13:52, 계 7:1~8).
예수님이 자신의 몸을 드린 제사를 드리심으로 거룩하게 된 자들을 영원히 온전케 하신다(히 10:10~14, 계 1:5~6).
贖: 속죄할 속, 罪: 허물 죄, 祭: 제사 제 ↩ ↩
Ep 06. 산
힐링바이블
Ep 02. 일곱 나팔 퀘사디아
요리조리 성경 맛보기
Ep 01. 꽃들에게 희망을
작품으로 만나는 신의 선물
Ep 12. 죽은 나사로가 다시 살아난 건에 대하여
성경동화
Ep 11. 당신은 지금 성경적 구원의 확신이 필요합니다
바이블라이프
2025.02.16. 주일예배
시온의 빛
2024.11.10. 주일예배
나의광장
성경클래스
온라인성경
카카오톡
챗봇
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