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스마웻(지명)
영어: Azmaveth(KJV, NASB, NIV) 요약예루살렘 성곽이 낙성되어 각처어세 레위 사람들을 찾아 데려다가 감사할 때 모여온 지역들 중 하나이다(느 12:27~29). -
에브라임 수풀
영어: the wood of Ephraim(KJV), the forest of Ephraim(NASB, NIV) 요약예루살렘 성과 요단 강 서쪽 인근에 위치한 숲으로 압살롬 군대가 다윗의 신복에게 패하였던 곳이다( 삼하 18장). 목차1. 역사 1.역사 압살롬의 이스라엘 무리가 다윗의 신복들에게 에브라임 수풀에서 패하였는데, 수풀에서 죽은 자가 칼에 죽은 자보다 많았다(삼하 18:6~8). 압살롬은 노새를 타고 도망할 때 상수리나무 번성한 가지 아래로 머리털이 걸려 다윗의 신복 요압의 군사에 의해 죽임 당했다(삼하 1... -
믹돌
영어: Migdol(KJV, NASB, NIV) 요약‘망대’라는 뜻으로,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를 건너기 전 진을 쳤던 곳이다(출 14:2, 민 33:7). 목차1. 주요 내용 1.주요 내용 예루살렘 멸망 후 애굽에 거하던 유대인들이 거하던 성읍이다(렘 44:1). 예레미야는 믹돌과 놉, 다바네스에게 선포하기를 바벨론의 침략을 예비하라고 했다(렘 46:13~14). 에스겔은 황무지가 될 애굽에 대하여 예언할 때 애굽 전역을 ‘믹돌에서부터 수에네 곧 구스지경까지’라고 표현하였다(겔 29:10, 겔 30:6). -
목상
...용어 1.역사 아합이 아세라 목상을 만들어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의 노를 격발하였다(왕상 16:29~33). 예후가 바알의 당에서 목상들을 가져다가 불살랐다(왕하 10:26). 요시야가 아세라 목상들과 우상들을 가루를 만들며 이스라엘 땅의 모든 태양상을 찍고 예루살렘으로 돌아왔다(대하 34:1~7). 2.관련용어 우상 木 나무 목 像 모양 상 ↩ -
우리야
우리야(제사장): 유다 왕 아하스의 통치 기간 중의 제사장이다. 우리야(선지자): 여호야김 왕 시대에 예레미야와 함께 활동했던 선지자로 스마야의 아들이다. 우리야(므레못의 아버지): 제사장으로 예루살렘 성벽을 보수한 므레못의 아버지이다. 우리야(밧세바의 남편): 헷 족속 밧세바의 남편이며 다윗왕의 충성스런 신복이었지만, 다윗왕이 그의 아내와 동침한 죄를 감추기 위해 암몬 자손의 칼에 죽은 인물이다. 우리야(에스라와 동행한 자): 학사 에스라가 수문 앞 광장에서 율법 책을 읽을 때에 함께한 자들 중 한 사람이다(느 8:1~6). -
하나니(임멜의 자손)
영어: Hanani(KJV, NASB, NIV) 요약유다와 예루살렘의 사로잡혔던 자의 자손들 중에 에스라의 가르침을 받고 이방 여인을 끊은 제사장들 중 임멜의 자손이다(스 10:16~20). -
아나냐(인명)
영어: Ananiah(KJV, NASB, NIV) 요약느헤미야 시대에 예루살렘 성벽 중수를 도운 아사랴의 할아버지이며, 마아세야의 아버지이다(느 3:23).